구형 에어컨/TV/셋탑박스 등 IOT로 연결하는 방법(1)

요즘 새로 에어컨/tv등을 사면 IOT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이런 가전제품들은 보통 한번사면 10년이상 쓰는데 바꿀떄도 되지 않은걸 좀 편하게 살아보겠다고 새로 다 바꾸자고 하면 등짝맞기 딱좋다.


그런관계로, 비교적 저렴한 장치를 설치해서 기존에 사용하던 가전제품중에서, 적외선 리모콘을 사용하는 물건(에어컨, 티비, 셋탑박스 등이 대표적)을 IOT로 연결하는 기구들이 많이 나와있다. 대충 개념은 아래그림과 같다. 

Logitech harmony hub(직구시 대충 5만원~10만원), 샤오미 리모컨(국내가 대충 2만원), Sensibo(10만+) 등이 대표적인 제품이다.

그런데 이런 제품들의 문제가 대충 3개 있다.

1. 리모컨은 보통 IR-적외선-을 사용하는데, 적외선은 벽을 못뚫는다. 그러니까 방이 여러개면 방마다 저런걸 하나씩 놔야된다는거다.
2. 샤오미가 그나마 싸긴한데 샤오미라도 방마다 하나씩놓고 거실에 하나 놓으면 돈 10만원은 금방이다. 로지텍하모니는 더 말할것도 없다. 
3. 이런 제품들을 설치해서 저런 제품만 쓰면 괜찮은데 보통은 예전에 있던 리모컨을 같이 쓰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러면 문제가 생긴다. 에어컨의 경우 원래 리모컨으로 켜고 샤오미로 끄면 에어컨 리모콘에는 켜져 있는것처럼 보인다. 샤오미로 켜고 에어컨으로 꺼도 마찬가지. 보통 동기화 문제라고 부른다. 이걸해결하기 위해서 에어컨 바람구멍앞에 IOT기능 있는 도어센서를 연결한다던지, TV USB에서 나오는 전원을 감지할 수 있는 IOT를 자작한다든지 하는 수단 등이 강구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신박한 해결책을 생각했으니..앞으로 연재예정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ESP8266, espeasy, HA, MQTT를 이용하여 에어컨 자동화하기(1)

Home Assitant 설치(2)

ESP8266, espeasy, HA, MQTT,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자(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