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에서 아마존 에코로 TTS사용하기

1. 구글홈 미니 등을 이용해서 구글 TTS(Text to Speech)는 많이 사용하는데 아마존 에코도 유사한 방식으로 HA에서 TTS 사용가능하다( 참고 ) 2. 설정방법 2019. 2. 1. update.  더 좋은방법 을 찾았다. 2019. 4. 1. update HA 업데이트되면서 설치방법 이 조금 바뀌었따. 가. HA에 접속해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udo -u homeassistant -H -s       source /srv/homeassistant/bin/activate /srv/homeassistant/bin/activate pip3 install bs4 pip install lxml (만약 lxml설치 과정에서 에러가 난다면 아래것을 해주고 다시 lxml을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libxml2-dev libxslt1-dev cd ~/.homeassistant/ mkdir custom_components mkdir custom_components/alexa_media cd custom_components/alexa_media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eatontaylor/alexa_media_player/master/alexa_media/__init__.py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eatontaylor/alexa_media_player/master/alexa_media/const.py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eatontaylor/alexa_media_player/master/alexa_media/media_player.py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eatontaylor/alexa_media_player...

HA 설정(Device Tracker, Presense Detection, Google map sharing, proximity)

이미지
1. 개념설명 자동화를 위해서는 소위 재실센서-사람이 방이나 특정 지역 안에 있는지/없는지, 있다면 몇명이나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라는게 있으면 큰 도움이 된다. Home assistant 에서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재실센서의 사용이 가능한데, 그중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 장치추적기 (device tracker)라는 것이다. 실제로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사람이 들어왔는지 나갔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사람이 잘 들고 다니는 장치-대표적으로는 휴대폰이 있다. 혹은 장치추적 자체의 용도로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서 팔기도 한다. Tile 이라던지. 요즘 학교들어가면 초등학생들 가방에 달아주는 태그 를 준다던데 이것도 비슷한 개념의 제품이다-를 추적해서 이게 있으면 사람도 있고, 없으면 사람도 없다는 식의 판단을 하는 것이다. 장치 추적기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구글맵을 사용한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본다. 2. Google map 을 이용해 HA에서 장치추적기 사용하기( 공식 설명 ) configuration.yaml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추가한다. device_tracker: - platform: google_maps username: YOUR_USERNAME password: YOUR_PASSWORD max_gps_accuracy: 35 YOUR_USERNAME 은 구글 계정의 이름.  YOUR_PASSWORD 는 구글 계정의 비밀번호이다. max_gps_accuracy는 gps신호가 얼마나 정확할 경우에 센서에 반영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이다. 이걸 너무 높게 해두면, 밤에 방안에서 잘때 gps신호의 정확성이 떨어져서 집밖으로 나간것처럼 보이는 경우들이 생긴다. 3. 구글맵 위치공유 사용하기 원래는 이걸로 끝인데, 이렇게 하면 매우 불안할 것이다. 구글 계정에는 여러가지 매우 중요한 정보들이 담겨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러므로 이걸 할때는 보통 쓰는 구글계정을 사용하지 않...

sonoff server emulate

sonoff 서버를 가상으로 돌려서 중국 서버를 거치지 않는 방법에 관한 자료. sonoff버전이 오르면서 인증서를 확인하게 되어서 막혔다. https://blog.ipsumdomus.com/sonoff-switch-complete-hack-without-firmware-upgrade-1b2d6632c01 https://wiki.almeroth.com/doku.php?id=projects:sonoff https://github.com/mdopp/simple-sonoff-server https://github.com/adam-golab/sonoff-server

임시 설정중.

co2 co2 각인쪽(바깥쪽)이 gpio3 시리얼 rx , 안쪽이 gpio1 시리얼 tx이다. on System#Boot do   timerSet,1,10   oledcmd,off endon On Rules#Timer=1 do   timerSet, 2, 10   oledcmd,on endon On Rules#Timer=2 do   timerSet,1,120   oledcmd,off endon https://www.reddit.com/r/SmartThings/comments/6uxj1a/has_anyone_reverse_engineered_some_of_the_cheap/ https://github.com/codetheweb/tuyapi https://blog.ipsumdomus.com/sonoff-switch-complete-hack-without-firmware-upgrade-1b2d6632c01 http://support.iteadstudio.com/support/discussions/topics/11000010107/page/2?url_locale= https://github.com/mdopp/simple-sonoff-server https://github.com/mirko/SonOTA

ESP8266, espeasy, HA, MQTT,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자(3)-미세먼지

이미지
3. pms7003   알리 에서 구매 약 20,000원  가. 하드웨어연결 pms7003 선 연결은 작고 네모난 모양의 커넥터를 사용한다. 보통 핀헤더로 연결하는 점퍼는 안들어가고, 사진과 같이 생긴 어댑터보드가 필요하다. 위 링크는 센서+어댑터로 구성되어있다. 어댑터빼고 싸게 파는것도 있는데 이거는 다른특별한 수단 있는거 아님 사지말자. 심히 고생한다(고 한다). 주의할점은 이 어댑터를 끼우는 방향이다. 케이블 나오는 쪽이 센서 아래로 가도록 꽂아야 한다. 반대로 꽂으면 핀연결이 달라진다. 다른핀은 큰문제가 아닐수 있는데 5v가 set에 붙는 관계로 모듈에 문제가 생길수 있다(set은 3.3v로 신호 받게 되어있다) pms7003도 전원은 5v로 공급받고 통신은 3.3v로 하는 센서이다. 센서에는 각인이 안되어있는데 어댑터보드에는 각인이 되어있으니 연결이 편하다. 저 보드를 꽂고, 케이블 중간을 잘라서 적당히 해체한다음에 필요한 곳에 연결하면된다. 아니면 하네스커텍터 10핀(아마도 이런거 )짜리를 사서 이어도 되는데 그럼 또 납땜하고 더 복잡해질수도 있다. Function: Pin PMS7003 ESP8266 VCC 1 or 2 5V GND 3 or 4 GND TX 9 1st GPIO specified in Device-settings Set 10 free gpio Reset 5 3rd GPIO specified in Device-settings nodemcu의 경우 5v는 vin이라는 이름으로 있다. tx는 빈 gpio에 연결하면 espeasy에서 설정할 수 있다. set도 마찬가지. reset도 마찬가지이긴한데, reset은 꼭 필요아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esp8266의 gpio는 생각보다 많지 않기 때문에 다른센서 연결...

ESP8266, espeasy, HA, MQTT를 이용하자(0)

이미지
사물인터넷과 HA를 esp8266에 올린 espeasy를 이용해 mqtt방식으로 연결해보자. 1. 하드웨어 준비 원래는 가급적 납땜과 커맨드라인 명령을 안쓰는 방법으로 해보려고 하였던 것인데...납떔을 피할수 있는 물건이 배송이 늦어지는 바람에 일단 납땜 하되 싸고 작은 방법으로 작업을 시작했다. ESP-12s 는 이렇게 생겼다. 보면알겠지만 이건 납땜안하면 전원도 못넣는다. 컴퓨터랑 연결은 당연히 안된다. 최소한 전원넣고 펌웨어 작업하려면 7개 납땜해야되고, 실제로 쓰려면 여기다 1-2개 더 납떔해야된다. 참고로 ESP-12e는 납떔하는부분에 구멍이 있어서 그나마 납땜이 쉬운데 ESP-12s는 구멍도 없어서 납떔이 정말어렵다. 납떔 전문가 아니면 12s는 자제하자. 모르고 사서 납떔하느라 고생했다. 여기까지 하고 이건 아니다 싶어서 다른방법을 찾았다. esp-12e adapter plate 라는걸 사면 그나마 좀 납땜이 편하다. GPIO15에 풀다운저항, EN에 풀업저항도 붙어있다. 뒷면에는 5->3.3 LDO regulator(5v입력받아서 3.3v입력으로 바꿔주는 칩)을 붙일수 있는 부분도 있다. 이 경우 어댑터 플레이트의 아래 가운데 붙은 0옴 저항을 제거해야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ams1117은 사용못하고(pitout 이 다르다), 핀아웃이 맞는것(왼쪽부터 GND,VIN, VOUT)을 사용해야 한다. L M8805F 3.3  등. 국내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 이런 레귤레이터가 있으면 참 좋을텐데....(혹시 국내에서 이런거 구할방법 아시는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필요한 선들을 납땜했다. 오른쪽 왼쪽선들은 그냥 점퍼선이고 아래 선2개는 집에 굴러다니던 3.3v 어댑터에서 꼬다리 자른 것이다. 뒷면. 저항은 gpio2와 vcc사이에 붙는 pull-up 저항이다. esp8266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이게 있는게 좋다. 이제 이걸 pc와 연결하려면...

ESP8266, espeasy, HA, MQTT,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자(2)-온습도, 이산화탄소

이미지
센서가 온 순서대로 진행중. 1. espeasy mqtt 설정  espeasy에 접속해서 이렇게 설정해준다. constoller ip는 mqtt broker가 설치된 라즈베리파이가 있는 ip이다. user, passwd는 모스키토 설치하면서 만든 것을 사용해야한다. 포트, subscribe, publish는 건드리지 말자. 1-2. HA에서 mqtt설정 HA에서 mqtt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아래 설정을 configuration.yaml에 추가해준다. mqtt: broker: 192.168.29.180 port: 1883 client_id: homeassistant-1 username: !secret mqtt_user password : !secret mqtt_passwd 브로커는 라즈베리파이가 있는 ip로 바꿔준다. secret.yaml에 mqtt_user와 mqtt_passwd를 설정해준다. 모스키토 설정하면서 만든 사용자이름과 암호를 사용하면된다. 2. dht11  사용결과 dht11은 너무 오차가 커서 온습도 측정의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bme280으로 교체예정 dht11의 가장 큰 장점은 가격(천원 전후, 알리에서 대량구매하면 몇백원 수준)이지만,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다. 2. dht11 연결   가. 하드웨어연결 이 그림을 참고해서 이놈을 esp8266에 연결한다. nodemcu라면 암-암 점퍼선을 사용하면 편하다(나중에 완성되면 글루건이나 납땜으로 안빠지게 고정해야된다) 그림을 참조해서 vcc는 nodemcu의 3.3v 또는 esp12의 vcc에, gnd는 gnd에, data는 빈 GPIO에 연결한다(글쓴이는 GPIO14(d5) 사용) 그리고 dht11의 data와 vcc 사이를 4.9k 저항으로 연결해줘야 한다. 빵판없으면 좀 귀찮은데 납땜해야할수도 있다. 나. espeasy 설정 espeasy의 device창에서 위 그...